부동산_공인중개사_부동산 개론_상업지 이론

상업지 이론

<크리스 탈러 : 중심지 이론>
1. 의의
    - 재화의 도달거리와 최소요구치의 관계를 설명한 이론
2. 용어
    (1)중심지 
        -개념: 점포들이 모여 있는 곳
        -기능: 배후지역에 재화나 서비스를 제공
        -구분: 상대적의 크기에 따라 저차·중차·고차중심지 구분        
           #.중심지 성립요건
              -최소요구치의 지역범위가 재화의 도달거리 안에 존재해야 함
              -재화의 도달거리>최소요구치   
    (2)배후지
        -상권
        -고객이 존재하는 곳
    (3)최소요구치
        -중심지 기능이 유지되기 위한 최소한의 인구(고객)수
    (4)재화의 도달범위
        -중심지 기능이 주변지역에 미치는 최대의 공간범위
3. 중심지이론 내용
    (1)중심지 간의 거리
          고차중심지>중차중심지>저차중심지
    (2)규모   
          고차중심지>중차중심지>저차중심지
    (3)중심지 수 
          고차중심지<중차중심지<저차중심지
    (4)시장원리.교통원리.행정원리등에 따라 중심지의 수와 모형은 많은 영향을 받음



        #. 유인력
             -유인력은 크기가 클수록 커진다 (크기는 비례)
             -유인력
             
       



 
             -거리가 크기보다 유인력에 더 큰 영향을 미침
             -유인력은 거리가 멀수록 작아짐(거리는 반비례)




<레일리의 소매인력의 법칙>
1. 분기
    -저차중심지에 가까운 곳에 형성
    -인구가 큰 도시에서는 멀고 작은 도시에 가깝게 형성
2. 구매지향 비율(인구유인 비율)
   
 


<컨버스의 분기점 모형>
  -레일리 소매인력의 법칙을 응용하여 두 도시 간의 상권경계 분기점를 계상

   

댓글

가장 많이 본 글