부동산_공인중개사_부동산 개론_상업지 이론
상업지 이론
<크리스 탈러 : 중심지 이론>
1. 의의
- 재화의 도달거리와 최소요구치의 관계를 설명한 이론
2. 용어
(1)중심지
-개념: 점포들이 모여 있는 곳
-기능: 배후지역에 재화나 서비스를 제공
-구분: 상대적의 크기에 따라 저차·중차·고차중심지 구분
-구분: 상대적의 크기에 따라 저차·중차·고차중심지 구분
#.중심지 성립요건
(2)배후지
-최소요구치의 지역범위가 재화의 도달거리 안에 존재해야 함
-재화의 도달거리>최소요구치 (2)배후지
-상권
-고객이 존재하는 곳
(3)최소요구치
-중심지 기능이 유지되기 위한 최소한의 인구(고객)수
(4)재화의 도달범위
-중심지 기능이 주변지역에 미치는 최대의 공간범위
3. 중심지이론 내용
(1)중심지 간의 거리
고차중심지>중차중심지>저차중심지
고차중심지>중차중심지>저차중심지
(2)규모
고차중심지>중차중심지>저차중심지
(3)중심지 수
고차중심지<중차중심지<저차중심지
고차중심지>중차중심지>저차중심지
(3)중심지 수
고차중심지<중차중심지<저차중심지
(4)시장원리.교통원리.행정원리등에 따라 중심지의 수와 모형은 많은 영향을 받음
댓글
댓글 쓰기